본문 바로가기

인니 뉴스일반

인도네시아 2024년 8월 자동차 판매 현황

반응형

 

이 보고서는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에서 주요 브랜드들의 판매, 소매, 생산, 수출 및 수입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은 전통적으로 일본 브랜드가 주도하는 시장으로, 토요타, 다이하츠, 혼다와 같은 브랜드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4년 상반기 동안의 자료를 통해 현대자동차와 같은 한국 브랜드 및 BYD와 같은 전기차 브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향후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1. 시장 점유율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한 브랜드는 토요타(Toyota)입니다. 토요타는 총 182,917대의 차량을 판매하며 32.6%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인도네시아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로, 특히 7월과 8월 두 달 동안 53,115대를 판매하며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다이하츠(Daihatsu)가 113,173대(20.2%)로 2위를 차지했으며, 혼다(Honda)는 61,394대(11.0%)로 3위를 기록했습니다​.

 

 1.1. 주요 브랜드별 동향

  • 토요타: 8월까지 182,917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산량에서도 333,672대를 기록해 생산과 판매 모두에서 인도네시아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다이하츠: 총 113,173대의 판매량을 기록했으나, 2023년 대비 14.6% 감소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 혼다: 61,394대를 판매했으며, 이는 작년 대비 36.8% 감소한 수치입니다. 혼다는 판매량의 급격한 감소가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 소매 판매 동향

소매 판매 부문에서 토요타는 192,047대를 판매하며, 전체 소매 시장의 32.8%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도매 판매 부문과 마찬가지로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다이하츠는 소매 시장에서 117,358대(20.1%)를 기록했으며, 혼다는 67,905대(11.6%)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2.1. 소매 판매 주요 특징

소매 판매에서는 전년 대비 다수의 브랜드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혼다의 소매 판매는 작년 대비 21.8% 감소했으며, 미쓰비시(Mitsubishi)와 스즈키(Suzuki) 역시 각각 12.4%와 16.0% 감소했습니다. 반면, 토요타는 상대적으로 적은 감소폭을 보이며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습니다.

 

3. 생산 동향

생산 부문에서도 토요타는 333,672대(42.8%)를 기록하며 가장 많은 차량을 생산했습니다. 다이하츠는 113,531대(14.6%)로 2위, 미쓰비시(Mitsubishi)는 83,664대(10.7%)로 3위를 차지했습니다. 주요 브랜드 대부분이 전년 대비 생산량이 감소했지만, 현대(Hyundai)는 생산량을 늘리며 주목받았습니다

 

 3.1. 현대의 생산 증가

현대자동차는 59,760대를 생산해 작년 대비 11.1%의 생산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시장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및 SUV 모델을 중심으로 한 현대의 인도네시아 시장 내 확장을 의미합니다.

 

4. 수출 및 수입 동향

수출 부문에서는 토요타가 107,051대의 차량을 수출하며 35.8%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다이하츠는 71,095대(23.8%), 미쓰비시는 52,062대(17.4%)를 기록했습니다. 수출 부문에서도 주요 브랜드들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출 실적을 보였으나, 다이하츠의 수출은 전년 대비 35.1% 감소했습니다

 

수입 부문에서는 토요타가 19,548대(33.1%)로 가장 많은 수입을 기록했으며, BYD는 9,162대(15.5%)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수입 부문에서는 전기차 브랜드인 BYD의 약진이 돋보이며, 향후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의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은 토요타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다이하츠와 혼다 역시 상위권을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주요 브랜드들의 판매와 생산량은 하락세를 보였으며, 특히 혼다와 다이하츠의 감소폭이 두드러졌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생산량 증가와 더불어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BYD 역시 수입 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