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증권정보

에스티팜 종목분석 (생물보안법 이슈 및 CB 잔량 확인)

반응형

에스티팜 종목분석 (생물보안법 이슈 및 CB 잔량 확인) 0

에스티팜(ST Pharm)은 한국의 제약 및 바이오 의약품 제조업체로, 주로 원료 의약품과 의약품 중간체를 개발 및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바이오 의약품, 특히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올리고 핵산) 기반 치료제 및 mRNA 백신 등의 개발과 생산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회사 개요:
설립연도: 1983년 (원래 동아쏘시오그룹의 자회사로 설립)
대표이사: 김경진
주요 사업: 원료 의약품(API), 바이오 의약품 생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제 개발
상장 정보: 코스닥 상장 (티커: 237690)

 


2) 주요 사업 분야:
원료 의약품(API): ST Pharm은 항바이러스제, 항암제, 고혈압약 등 다양한 의약품의 원료 물질을 제조(CDMO)하고 있습니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올리고핵산): 회사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기반의 RNA 치료제를 개발하며, 코로나19 mRNA 백신과 같은 백신 및 치료제의 핵심 성분을 생산하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mRNA 플랫폼: ST Pharm은 RNA 기반의 백신과 치료제에 사용되는 원료를 대규모로 생산(CDMO)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mRNA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3) 연구개발:

ST Pharm은 연구개발(R&D)에 큰 비중을 두며,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RNA 기술을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신약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임상시험도 병행하여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일반 기성품을 판매하는 사업과 달리, 신약 원료의약품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은 매출과 직결됩니다. 신약 완제의약품 제조사에 원료 의약품을 공급하는 것이 매출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위해 신약 원료 의약품 공급자로 선정되는 것이 핵심 전략입니다. 따라서, 이 선정 과정 자체가 CDMO 사업의 중요한 판매 전략이 됩니다.

 

에스티팜 종목분석 (생물보안법 이슈 및 CB 잔량 확인) 1
타 바이오 종목에 비해서 재무적으로도 매우 안정적


4) 최근 이슈 및 재료

 

미국 생물보안법

지난 9월 9일 미국 하원은 생물보안법안을 찬성 306, 반대 81로 최종 통과시켰습니다. 생물보안법은 미국 정부가 우려하는 생명공학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는 법안으로, 대표적인 중국 최대의 의약품 CRO(임상수탁),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 우시 앱텍, 우시 바이오로직스 등도 제제대상에 포함됩니다. 이에 국내 CDMO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최종 입법을 위해 남은 절차는,

1. Senate Floor(상원 본회의) 결의

1-2. Bicameral Resolution(양원 본회의) 결의 (하원, 상원 다르게 의결한 경우)

2. Presedential Actions(대통령 서명)

에이지 치료제

에스티팜은 자체 개발 중인 에이즈 치료제 STP0404에 대한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STP0404는 알로스테릭 HIV-1 인테그라아제 저해제(ALLINIs)로, 에이즈의 원인균인 HIV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데 필요한 핵심 효소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약물은 HIV 바이러스의 인테그라아제 중 특정 부위를 타깃으로 하여,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이 외막을 통해 나오는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바이러스 증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기전입니다.

 

에스티팜은 2023년 5월 임상 2상을 시작했으며 2024년 11월 임상2상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에이즈 치료제 시장은 약 43조 시장이며, 매년 4%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5) 전환사체 잔량

에스티팜은 사업의 투자를 위해 대규모 전환사채를 발행했고, 아직 잔량이 많이 남은 상황입니다. 2024년 9월 20일 신규 전환된 65,286주를 제외하고도 아직 715,385주가 남은 상황입니다. 남은 물량이 시장에 풀릴 수 있다는 부담감으로 주가는 아직도 탄력을 받지 못 하고 있습니다. 

종류\구분 발행일 전환청구가능기간
전환가능주식수
제 1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2020.12.11 2021.12.11~
2025.11.11
727,494
제 2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2023.08.09 2024.08.09~
2028.07.09
1,395,011
합 계 - - 2,122,505

 

총 전환 물량 1,407,120
2024/9/20 65,286
2024/9/12 119,272
2024/9/9 65,286
2024/9/6 32,639
2024/9/5 50,534
2024/9/3 4,394
2024/9/2 43,943
2024/7/25 218,248
2024/6/19 145,498
2024/5/29 181,873
2024/5/22 202,243
2024/4/5 125,129
2022/01/06 152,775

 

6) 판단 정리

에스티팜은 올리고 제품의 안정적인 공급과 신규 공급 증가로 매출 흐름이 안정적인 상황입니다. 전환사채 물량이 많이 남아 부담스럽지만, 증권가 목표가인 12만~13만은 무난히 넘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CDMO 업계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역대 최고가를 갱신하고 있고, 생물보안법 관련 테마로  바이넥스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생물보안법은 중국 공급 의존도를 0%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에스티팜은 중국 영향을 받지 않는 유일한 기업이기에 최대 수혜주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7) 생물보안법 다른 수혜주

 

1. 삼성바이오로직스
세계 최대 CDMO 업체 중 하나로, 바이오 의약품 생산에 특화된 글로벌 기업입니다. 대규모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 SK바이오텍
SK그룹의 자회사로, 글로벌 시장에서 원료 의약품(API) 및 완제 의약품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항암제 및 희귀질환 치료제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며, 미국과 유럽 제약사들과 협력하여 CDMO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3. 바이넥스
바이오 의약품 생산에 특화된 CDMO 업체로, 생물보안법 관련 테마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생산을 담당하며, 최근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 LG화학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 적극 진출하여 CDMO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 및 항암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들과 협력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5. 셀트리온
자체 바이오 의약품 개발과 더불어 CDMO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바이오시밀러 및 항체 치료제 생산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수요가 높아지며 생산 능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반응형